-
TIL 111일 - TDD로 코딩테스트 문제 풀기공부/개발 전체적인 2022. 4. 19. 23:04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92334
코딩테스트 연습 - 신고 결과 받기
문제 설명 신입사원 무지는 게시판 불량 이용자를 신고하고 처리 결과를 메일로 발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려 합니다. 무지가 개발하려는 시스템은 다음과 같습니다. 각 유저는 한 번에 한 명의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 k번 이상 신고된 유저는 게시판 이용이 정지되며, 해당 유저를 신고한 모든 유저에게 정지 사실을 메일로 발송합니다.
- 유저가 신고한 모든 내용을 취합하여 마지막에 한꺼번에 게시판 이용 정지를 시키면서 정지 메일을 발송합니다.
다음은 전체 유저 목록이 ["muzi", "frodo", "apeach", "neo"]이고, k = 2(즉, 2번 이상 신고당하면 이용 정지)인 경우의 예시입니다.
유저 ID유저가 신고한 ID설명"muzi" "frodo" "muzi"가 "frodo"를 신고했습니다. "apeach" "frodo" "apeach"가 "frodo"를 신고했습니다. "frodo" "neo" "frodo"가 "neo"를 신고했습니다. "muzi" "neo" "muzi"가 "neo"를 신고했습니다. "apeach" "muzi" "apeach"가 "muzi"를 신고했습니다. 각 유저별로 신고당한 횟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저 ID신고당한 횟수"muzi" 1 "frodo" 2 "apeach" 0 "neo" 2 위 예시에서는 2번 이상 신고당한 "frodo"와 "neo"의 게시판 이용이 정지됩니다. 이때, 각 유저별로 신고한 아이디와 정지된 아이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유저 ID유저가 신고한 ID정지된 ID"muzi" ["frodo", "neo"] ["frodo", "neo"] "frodo" ["neo"] ["neo"] "apeach" ["muzi", "frodo"] ["frodo"] "neo" 없음 없음 따라서 "muzi"는 처리 결과 메일을 2회, "frodo"와 "apeach"는 각각 처리 결과 메일을 1회 받게 됩니다.
이용자의 ID가 담긴 문자열 배열 id_list, 각 이용자가 신고한 이용자의 ID 정보가 담긴 문자열 배열 report, 정지 기준이 되는 신고 횟수 k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유저별로 처리 결과 메일을 받은 횟수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2 ≤ id_list의 길이 ≤ 1,000
- 1 ≤ id_list의 원소 길이 ≤ 10
- id_list의 원소는 이용자의 id를 나타내는 문자열이며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id_list에는 같은 아이디가 중복해서 들어있지 않습니다.
- 1 ≤ report의 길이 ≤ 200,000
- 3 ≤ report의 원소 길이 ≤ 21
- report의 원소는 "이용자id 신고한id"형태의 문자열입니다.
- 예를 들어 "muzi frodo"의 경우 "muzi"가 "frodo"를 신고했다는 의미입니다.
- id는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이용자id와 신고한id는 공백(스페이스)하나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자기 자신을 신고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 1 ≤ k ≤ 200, k는 자연수입니다.
- return 하는 배열은 id_list에 담긴 id 순서대로 각 유저가 받은 결과 메일 수를 담으면 됩니다.
입출력 예id_listreportkresult["muzi", "frodo", "apeach", "neo"] ["muzi frodo","apeach frodo","frodo neo","muzi neo","apeach muzi"] 2 [2,1,1,0] ["con", "ryan"] ["ryan con", "ryan con", "ryan con", "ryan con"] 3 [0,0]
입출력 예 설명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ryan"이 "con"을 4번 신고했으나, 주어진 조건에 따라 한 유저가 같은 유저를 여러 번 신고한 경우는 신고 횟수 1회로 처리합니다. 따라서 "con"은 1회 신고당했습니다. 3번 이상 신고당한 이용자는 없으며, "con"과 "ryan"은 결과 메일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0, 0]을 return 합니다.
제한시간 안내- 정확성 테스트 : 10초
위 같은 문제를 TDD 공부한 것을 바탕으로 풀어보려고 한다.
요구사항
- 동일한 유저를 신고했을 때 신고당한 횟수는 증가하지 않는다.
- 어떤 유저는 다른 유저를 신고할 수 있다.
- 어떤 유저가 다른 유저를 신고하면 다른 유저는 신고당한 횟수가 1 증가한다.
- K회 이상 신고당한 유저를 신고했던 적이 있는 유저는 이메일을 받은 횟수 카운트가 증가한다.
- 한 번에 여러 신고 리스트("신고한유저ID 신고당한유저ID" )를 받을 수 있다.
- 이메일 받은 횟수를 배열로 반환한다.
테스트코드
package com.example.kakaotdd;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assertArrayEquals;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assertEquals; public class ReportSystemTest { @Test void 다른_유저를_신고하면_신고횟수가_늘어납니다() { ReportSystem reportSystem = new ReportSystem("muzi frodo", 2); reportSystem.report("muzi frodo"); assertEquals(1, reportSystem.getUserByName("frodo").reportCount); } @Test void 동일한_유저가_동일한_유저를_신고했을_때는_카운트가_증가하지_않는다() { ReportSystem reportSystem = new ReportSystem("muzi frodo", 2); reportSystem.report("muzi frodo"); reportSystem.report("muzi frodo"); assertEquals(1, reportSystem.getUserByName("frodo").reportCount); } @Test void 정산_기능을_사용해서_메일을_받는_횟수를_계산한다() { ReportSystem reportSystem = new ReportSystem("muzi frodo apeach neo", 2); reportSystem.report("muzi frodo"); reportSystem.report("apeach frodo"); List<Integer> result = reportSystem.calculateMailCount(); List<Integer> arr = new ArrayList<Integer>(); arr.add(1); arr.add(0); arr.add(1); arr.add(0); Object[] actual = result.toArray(); Object[] expect = arr.toArray(); assertArrayEquals(expect, actual); } }
package com.example.kakaotdd;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stream.Collectors; public class ReportSystem { private final int limitReportCount; private List<User> users; public ReportSystem(String user_list,int limitReportCount) { ArrayList<User> tempUsers = new ArrayList<User>(); String[] userNameList = user_list.split(" "); for (int i = 0; i < userNameList.length; i++) { tempUsers.add(new User(0, userNameList[i])); } this.users = tempUsers; this.limitReportCount = limitReportCount; } public User getUserByName(String name) { return users.stream().filter(user -> user.name.equals(name)).findFirst().get(); } public void report(String reportInfo) { String reporterName = reportInfo.split(" ")[0]; String reportedName = reportInfo.split(" ")[1]; if (users.stream().filter(user -> user.name.equals(reportedName)).findFirst().get().reportUsers.stream().filter(user -> user.name.equals(reporterName)).findFirst().isPresent()) { return; } User reportedUser = users.stream().filter(user -> user.name.equals(reportedName)).findFirst().get().addReportCount(reporterName); } public List<Integer> calculateMailCount() { for (User user : this.users) { List<User> reportUsers = user.reportUsers.stream().collect(Collectors.toList()); for (User reportUser : reportUsers) { if (reportUsers.size() >= limitReportCount) { this.users.stream().filter(u -> u.name.equals(reportUser.name)).findFirst().get().addMailCount(); } } } List<Integer> arr = new ArrayList<Integer>(); for (User user : this.users.stream().collect(Collectors.toList())) { arr.add(user.mailCount); } return arr; } }
package com.example.kakaotdd;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User { public int reportCount; public String name; public List<User> reportUsers; public int mailCount; public User(int reportCount, String name) { this.reportCount = reportCount; this.name = name; this.reportUsers = new ArrayList<User>(); this.mailCount = 0; } public User addReportCount(String reporterName) { reportUsers.add(new User(0, reporterName)); reportCount++; return this; } public void addMailCount() { mailCount++; } }
일단 통과는 했다.
후기, 느낀점, 들었던 생각 등등등....
1. 일단 이번에는 코드를 잘 짜보자 라는 것에 포커스를 맞추기 보다는 알고리즘 문제를 풀 때 TDD를 적용해서 풀면 어떨까? 같은 생각을 해서 했기에 코드 퀄리티는 매우 낮다.
2. 요구사항을 정리하는 것이 헷갈렸다.
내가 만들고자 하는 코드가 '신고를 k번 이상 당했을 때 신고한 사람들에게 메일을 발송하는' 프로그램이 아니라, 이런 상황에서 어떤 프로그램이 동작한다고 가정했을 때의 시뮬레이터를 만드는 것에 가까웠던 거 같다.
그렇다 보니 원래 문제 설명에 있던 'k번 이상 신고된 유저는 게시판 이용이 정지되며, 해당 유저를 신고한 모든 유저에게 정지 사실을 메일로 발송합니다.' 같은 요구사항이 실제 프로그램을 가정해서 요구사항을 작성하다가 이런 의문이 들었다.
'어? 이미 k번 신고당한 사람이 다시 한번 더 신고를 당하면 메일이 어떻게 발송되는거지? 지금까지 보냈던 사람들은 제외하고, 다시 k번 신고당해야 하나?'
내가 만드는 프로그램의 요구사항이 설명 안에 있는 상황과 실제로 문제를 풀기위한 인풋과 아웃풋 등을 잘 생각해서 요구사항을 만들어야 할 듯하다. (여러 번 해보면서 익숙해 지는 수 밖에 없을 거 같다.)
3. 내 목적은 TDD 연습인가 알고리즘 공부인가?
사실 둘 다 챙기고 싶다고 생각을 했는데, 만약 TDD 공부에 포커스를 맞춰 테스트 코드를 작성했다고 하면 user.mailCount, user.reportCount 같은 프로퍼티는 private 접근자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그렇게 실제 구현환경?이 없는 상황이다보니 코드를 짜기가 매우 어려웠다....
그냥 내가 TDD를 잘 못해서 그런건가...? 이건 좀 고민이 필요한데...
근데 그렇다고 하기엔 실제 환경이었다면 실제로 퍼블릭한 메서드는 '신고하기' 메서드 하나였을 것 같은데......
4. 자바를 너무 못함
자바 코드를 작성해 본 적이 너무 없다보니까 별 그지같은 배열 하나 만드는 것도 헷갈렸다.
예를들어 int 배열을 반환하고 싶어서 함수 return 문에
return {1,2,3,4};
이런식으로 했는데 안 된다고 해서 좀 짜증이 났다. 자바스크립트는 그냥 반환해 준단말이야...
js에서는 그냥 arr.find(el->el.name===name); 이렇게 하면 찾아주는데
자바에서는 arr.stream().filter(el->el.name.equels(name)).findFirst().get()
같이 작성하는 게 너무 낯설었다.
'공부 > 개발 전체적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113일 - TDD (0) 2022.04.21 TIL 112일 - TDD공부 (0) 2022.04.20 TIL 109일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0) 2022.04.17 TIL 108일 - BUILD-OPERATE-CHECK 패턴 (0) 2022.04.16 TIL 106일 - UML 클래스다이어그램 (0) 2022.04.15 - k번 이상 신고된 유저는 게시판 이용이 정지되며, 해당 유저를 신고한 모든 유저에게 정지 사실을 메일로 발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