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 27일 - elastic beanstalk, aws cliTIL(미사용) 2020. 5. 27. 14:00
Elastic Beanstalk
어플리케이션을 Elastic Beanstalk에 배포하기만 하면 용량 프로비저닝, 로드 밸런싱, 조정, 애플리케이션 상태 모니터링에 대한 세부 정보를 자동으로 처리한다.
Elastic Beanstalk 콘솔, AWS CLI, eb CLI를 사용해서 Elastic Beanstalk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웹 인터페이스(콘솔)에서 EC2를 조작할 수 있다.
Elastic Beanstalk를 사용하려면 앱을 생성하고, 앱 소스 번들의 형태를 업로드 하고, 몇 가지 정보를 제공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Elastic Beanstalk은 자동으로 환경을 실행하고 코드 실행에 필요한 AWS 리소스를 생성 및 구성한다.
* 로드 밸런싱: 처리해야하는 작업을 분산처리 하도록 하는 것
* 프로비저닝(provisioning):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시스템 자원을 할당, 배치, 배포해 두었다가 필요 시 시스템을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미리 준비해 두는 것
Elastic Beanstalk를 기본적으로 만들면 생기는 AWS 리소스
- EC2 인스턴스: 특정 언어 버전, 프레임워크, 웹 컨테이너 또는 조합을 지원하도록 각 플랫폼마다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구성 파일 및 스크립트 세트가 다르다. 대부분의 플랫폼에서 프록시로 Apache 또는 nginx를 사용한다.
- 인스턴스 보안 그룹: 포트 80에서 수신 트래픽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Amazon EC2 보안 그룹
- Amazon S3 버킷: Elastic Beanstalk 사용 시 생성된 소스 코드, 로그 및 기타 결과물의 스토리지 위치
- Amazon CloudWatch 경보: 환경의 인스턴스를 모니터링
- AWS CloudFormation: Elastic Beanstalk에서 이 스택을 사용하여 환경의 리소스를 관리한다.
Elastic Beanstalk 앱 소스 번들 생성
번들 생성 시 요구사항
- 단일 ZIP, WAR 파일로 구성 됨, WAR 파일 내에 ZIP 파일 생성 가능
- 최대 512MB
- 상위 폴더 or 최상위 디렉토리를 포함해서는 안 됨
eb cli 등의 툴을 사용하면 올바른 ZIP 또는 WAR이 자동으로 구성됨
AWS CLI
$ aws configure
- aws cli를 사용할 때 디폴트로 사용할 정보?를 입력하는 명령어
$ aws configure --profile yatyat
- yatyat 유저로 설정을 해서 cli를 사용할 때 의 정보를 입력하는 명령어
또 계속 쭉쭉 하려고 했으나...
EB 콘솔에서 파일을 업로드 하면 502가 뜨고... 혹시 배포의 문젠가 싶어서 eb deploy로 하면 InvalidParameterValueError - No Environment found for EnvironmentName 에러가 뜨고.... 하... 뭐 하나 쉬운 일이 없네 정말
'TIL(미사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1일 EC2 시작, SSH 연결 (0) 2020.06.01 5월 28일 - Elastic Beanstalk (0) 2020.05.28 5월 26일 - 웹 페이지 만들기(프론트엔드)였으나 weppack (0) 2020.05.27 5월 23일 - 웹 스택 비교 (0) 2020.05.23 5월 20일 - Koa로 만든 서버에 MongoDB 연결 (0) 2020.05.20